본문 바로가기


서브 비주얼

정보광장


숙박매거진 위생교육 숙박매거진 E-book 지역협회 찾기 협력업체 쇼핑몰
숙박매거진 뉴스홈페이지 오픈

> 정보광장 > 전문가칼럼

전문가칼럼

전문가칼럼 뷰페이지

[고상진] 세대: 변화

관리자 |
등록
2019.07.02 |
조회
6208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다. 10년이라는 세월은 강줄기의 굽이가 달라지거나 나무가 자라 산의 모양이 달라질 정도로 긴 세월이라는 것이다. 가만히 머물러 있는 강과 산도 변하는데, 사람이 살아가는 모든 것들도 변하기 마련이다. 숙박업도 유행 아이템이 달라지고 고객의 니즈가 달라진다. 폭 넓은 견해와 시대의 흐름을 제대로 이해하면 먼 미래를 대비할 수 있고,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이번 칼럼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대비해야 할 숙박업의 미래를 함께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편집자 주>

같은 세대를 살아왔다고 하지만 동시대의 문화를 대표하는 세대의 호칭은 남의 이야기처럼 들릴 때가 많습니다. 90년 초반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라는 책에서 처음 신세대라는 단어를 접했을 때처럼 말입니다. 그 책이 발행 된 지도 어언 삼십년이 훌쩍 넘었지만, 그 신세대를 살아온 우리가 과연 그 신세대였던 적이 있었는지 의문이 들 때도 있습니다. 다만 그 신세대가 이제는 구세대가 되어 버렸다는 것만 진실로 받아들여질 뿐이지요.

좁은 골방 같은 내실에 앉아 우물 안의 개구리마냥 보이는 것만 보고 들리는 것만 듣다보면 변화의 시류에 떠밀리고 있음에도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게 마련입니다. 변하지 않을 것 같았던 숙박업의 경향을 믿고 싶어 변해가는 세태를 접하면서도 그저 먼 나라 이야기처럼 눈 돌려왔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공유경제: 공유민박업
모텔, 호텔, 게스트하우스, 펜션 등을 망라하여 치킨 집보다 많은 숙박업소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별장과 대비하여 공유경제의 개념이 아니었던 적이 없었던 숙박업소에 공유경제의 개념을 담은 공유민박업이라는 항목까지 추가되려고 합니다. 단순히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플랫폼 업체를 배불리는 전시행정에 그칠 거라고 외면하기에는 시대의 조류를 무시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신뢰, 희소성, 내구성 등의 성립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공유경제라는 개념은 ‘생산된 제품을 다수가 공유해서 사용하는 협력 소비를 기반으로 한 경제 방식’이라고 2008년 ‘Lawrence Lessig(로렌스 레식)’교수가 처음 정의하였습니다.

서비스에만 한정해서 생각해보자면 과거 농촌의 일손을 나누는 두레나 품앗이와 다를 바 없으며, 숙박업소로 보자면 콘도미니엄과 하등 다를 바 없습니다. 다만 공유에 대한 신뢰를 보증하거나 개인과 개인 간의 거래를 위한 중개업체인 인터넷 플랫폼의 확산 정도의 차이만 있겠지요.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소매나 유통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 현실을 도외시한 체, 어차피 기존의 숙박 개념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것을 굳이 몇몇 업체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공유민박업을 도입하는 것 정도로 치부할 문제는 아니라는 겁니다. 주로 전화라는 통신수단을 이용한 예약이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한 예약 형태로 이토록 짧은 시간에 진화하리라고 예측하지 못했습니다. 아니, 다양한 숙박업 홍보업체가 모텔을 거점으로 인터넷에 광고하라고 열심히 영업을 하는 동안에도 그저 그러려니 하고 새로운 동향을 외면했다고 하는 게 더 정확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세상은 변하고 있지만 변화에 적응하려는 마음과 노력이 그 기류와 속도에 편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같은 세대를 살고 있지만 그 세대를 표현하는 기호의 세대는 아니었던 것입니다.

존속: 몰락
어디서나 들려오는 얘기입니다. 이러다가는 망하겠다는 자조적인 하소연 말입니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 이후 많은 숙박업소들이 몰락의 길에 내몰렸습니다. 도심의 숙박업소는 원룸이나 고시원으로의 변화를 모색했고, 외곽의 업소들은 요양병원 등으로 변화하기도 했습니다. 건축법 상 건축물은 크게 9개의 시설군으로 분류되고, 이 시설군 내에서 29가지 용도로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상위군으로의 변경은 허가사항이고 하위군으로의 변경은 신청사항이기에 숙박시설이 포함되는 영업시설군은 요양병원의 용도인 하위의 ‘교육 및 복지시설군’이나 원룸의 용도인 ‘주거업무시설군’으로의 변경 시, 단순 신고 사항이라 용도를 바꾸는 것은 어렵지 않은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변화의 주목적은 생존이 가장 우선시 될 수밖에 없습니다. 몰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화를 꾀해야만 했으니까요.

숙박업을 포함한 대다수의 소매나 유통의 매장들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변화의 중심에 놓여 있습니다. 경기가 안 좋거나 과다한 경쟁업소만의 표면적인 문제만은 아닙니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유통시장과 소유가 아닌 사용을 위한 공유경제의 전 방위적인 확산, 그리고 1인 소비생활의 보편화 등 경제의 형태가 바뀌고 있는 상황에 주목해야 합니다. 더 이상 과거와 같은 관점으로 시장을 바라볼 수 없습니다.

숙박업이 잠을 자고 머무르는 장소를 일정한 대가를 받고 대여하는 곳이란 가장 근본적인 개념까지 한번쯤 달리 생각해 봐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한 발 더 나아가 잠을 자고 머무르는 대상이 누구인지, 얼마나 오래인지, 그것 외에 다른 것을 추가하여 수익을 극대화 할 수는 없을지 고심해야 할 때입니다. 아니면 숙박업소가 아닌 다른 무언가로의 변화까지도 생각해봐야 합니다. 비록 그것이 당장은 존속에 불과할 선택일지라도 존속하지 않고는 미래를 꿈꿀 수 없기 때문입니다.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 상 진 대표
공간이노베이션(주)
TEL: 010-5800-2050
한국형 게스트하우스 및
비즈니스 호텔 가맹점 60여개 운영 중










저작권자 © 숙박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ww.sukbakmagazine.com

목록보기
이전글 [박기현] 시스템 활용도 높이기
다음글 [이길원] 유혹? 내 모텔, 변해야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