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 비주얼

정보광장


숙박매거진 위생교육 숙박매거진 E-book 지역협회 찾기 협력업체 쇼핑몰
숙박매거진 뉴스홈페이지 오픈

> 정보광장 > 전문가칼럼

전문가칼럼

전문가칼럼 뷰페이지

[전문가 칼럼] 숙박시설 리모델링 시 가장 중요한 콘셉트 정하기 - 정우석

관리자 |
등록
2024.05.29 |
조회
577
 

상권조사 예시.
상권조사 예시.

숙박시설을 리모델링할 때 인테리어의 콘셉트는 신중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 시설에 어우러지는 인테리어 콘셉트는 매출 증대의 요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권에 따라 어울리는 콘셉트에 맞춰 인테리어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우석 대표가 숙박시설 리모델링 시 고려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되짚어본다.
 

숙박시설 건물주가 리모델링을 계획할 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인테리어 콘셉트를 정하는 일이다. 건물 전체를 리모델링 하게 되면 향후 10년간 바꾸지 못하기 때문에 콘셉트를 정하는 것은 신중하게 생각한 다음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숙박시설을 리모델링 할 때, 많은 건물주 분들이 콘셉트를 뚜렷한 전략 없이 정하는 경우가 많다. 콘셉트를 정하는 단계 자체를 인테리어 회사에 위임하거나, 인터넷에서 보았던 개인 취향의 콘셉트를 우리 상권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정해버리기도 한다.

그렇다면 콘셉트란 무엇일까?
인테리어 관점에서 디자인 콘셉트의 의미는 우리 호텔의 모든 시각적인 계획과 테마를 정하는 일이다. 사업의 관점으로 보면 콘셉트는 곧 우리 호텔의 매출과 직결되어 있다. 고객이 좋아하는 콘셉트를 선정한 숙박시설은 높은 매출을 달성할 것이고, 그 반대라면 매출에도 당연히 영향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고객’은 상권마다 그 유형이 다르고 숙박시설을 주로 찾는 목적도 상권과 입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셉트를 정하는 단계는 정답은 없고 그 상권에 맞는 해답을 찾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객단가가 저조한 상권에서 일반적인 콘셉트가 아닌 일본 료칸 콘셉트를 적용하여 숙소를 찾아오는 반경을 넓히는 콘셉트 설정의 예시
객단가가 저조한 상권에서 일반적인 콘셉트가 아닌 일본 료칸 콘셉트를 적용하여 숙소를 찾아오는 반경을 넓히는 콘셉트 설정의 예시

콘셉트를 잘 정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1. 상권 조사
중소형 숙박시설은 일반적으로 일반 상업지에 위치한다. 일반 상업지는 대개 가장 많은 소비가 발생하는 상업시설이 밀집된 곳이다. 숙박시설의 고객들은 주로 다른 상업시설을 이용한 후에 당일 여정의 마지막 지점으로 우리 호텔에 도착한다. 특히 식당이나 편의점, 카페와 같은 상업시설은 숙박시설을 방문하기 전에 주로 이용되므로, 이러한 상업시설의 카드 매출 데이터를 살펴보고 본인이 잘 알고 있는 상권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권의 매력도를 확인할 수 있다. 요즘에는 상권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제공되는 부동산 플랫폼이 많이 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상권의 주요 소비 고객의 연령, 성별, 결제 시간대별 매출 데이터까지 제공된다. 따라서 상권 조사를 통해 상권의 소비 규모와 이 상권을 주로 이용하는 고객의 연령, 특성, 상권이 활성화되는 시간대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 호텔을 많이 찾는 고객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새로운 호텔의 타깃을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 타깃에 맞는 콘셉트를 검토해 볼 수 있다.

2. 경쟁업체 조사
경쟁업체 조사에서의 체크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 상권 내 경쟁업체의 수와 상권 내 총 객실 수
● 경쟁업체의 객실 타입별 평균 객단가 (주중, 주말)
● 경쟁업체의 콘셉트와 객실에 있는 콘텐츠 종류
● 경쟁업체의 회전율 조사

콘셉트를 정하는 것에 있어서 주변 경쟁업체의 현황을 파악하다 보면 높은 객단가를 받고 있는 경쟁사들의 공통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체 상권에서의 경쟁업체의 수와 평균 객단가를 토대로 전체 시장의 수요 대비 공급의 적정성도 가늠해 볼 수 있다. 만약 대부분의 호텔이 객단가가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어려운 상권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경쟁업체들과 유사한 콘셉트를 선택하는 것이 향후 사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는 위험한 선택이 될 수 있다.

경쟁업체의 정보는 국내 OTA 사이트를 통해 획득 가능하다. 경쟁업체의 판매 현황을 보며 여러 가지 가설을 세워보며 검증해 나가는 방식으로 추정한다. 필자는 국내 OTA 사이트의 당일예약 마감 시간인 새벽 2시에 해당 상권의 업체별 만실 현황을 모니터링하며 만실에 성공한 호텔들의 공통점과 다른 호텔들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상권 경쟁업체에 대해 학습하고 있다.

3. 지역특성 파악
지역 특산물, 유래 등을 위키백과 등으로 간단하게 조사할 수 있다. 중소형 숙박시설의 경우 로컬을 호텔과 연결하는 방식이 잠재 고객이 우리 호텔을 인식할 수 있는 유리한 전략이 되는 경우가 많다. 전통이라는 키워드와 어울리는 도시이자, 지역 특산물 중 노가리가 있는 전주의 경우 전통과 노가리를 호텔 콘셉트에 연결시켜 기획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주를 여행하는 여행자들에게는 지역의 스토리가 녹아있는 숙소를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이 숙소 선택에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

4. 전문가의 조언
사실 콘셉트를 정하는 것은 테마를 정하는 정도이며, 호텔 브랜딩 프로세스에서는 출발에 불과하다. 따라서 콘셉트를 정하고 모든 호텔의 기획을 실체화하는 브랜딩 과정에는 각 분야별 전문가가 협업하여 하나의 호텔을 만들어야 그 완성도가 높다.

한국 레트로 스타일과 노가리를 파는 가맥집을 접목한 전주 구도심에 있는 호텔 사례
한국 레트로 스타일과 노가리를 파는 가맥집을 접목한 전주 구도심에 있는 호텔 사례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숙박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보기
이전글 [전문가 칼럼] 호텔의 또 다른 공간 제시,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 정우석
다음글 [전문가 칼럼] 스낵바, 숙박시설 간식 서비스 - 장준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