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숙박산업 회복의 선제적 대응 - 고상진
|
최근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강화하면서 숙박시설에도 객실 규모의 3분의2만 영업이 가능하도록 제한을 두는 내용을 발표했다. 다만, 숙박시설만 규제가 강화된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에서 집합금지와 영업제한이 계속되고 있다. 숙박업경영자는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어떤 전략을 마련해야 할까? 고상진 대표가 이 같은 고민을 담았다. <편집자 주> 중소기업의 경기 전망과 경제환경 전망을 측정하는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 Small Business Health Index)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긍정적 전망으로, 이보다 낮을 때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기체감지수로 볼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전년도 3,15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내놓은 결과에 따르면 1월의 SBHI는 65로 전월의 72에 비해 하락했으며, 전년 동월에 비해서도 큰 폭인 16.3포인트나 떨어졌습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의 전망은 28.1로 전월의 53.8에서 반토막 수준으로 전망될 만큼 극도로 부정적인 전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 상용근로자의 감소세도 지난 2020년 11월 기준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 전체 종사자 1,115,000명 중에서 지난 한 해 186,000명의 종사자 수 감소로 14.3%에 달하는 많은 인원이 감소했습니다. 암울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지부진하던 머큐어앰배서더호텔의 매각이 가속화 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을 두고 관광산업 회복을 대비한 선제적 매수세라고 평가하는 1월의 뉴스가 인상적입니다. 게다가 국토교통부의 건축 허가 현황을 보면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건축 허가 물량은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17.73%나 늘어났습니다. 건축 허가 물량은 1,618건에서 1,905건으로, 건축허가 연면적은 190만6490㎡에서 259만954㎡로 전 년 동기대비 35.9% 증가했습니다. 일견 의아스럽기 이를 데 없는 수치입니다만 코로나 백신 접종과 발맞춰 관광산업의 회복에 대한 선제적 반영을 여러 측면에서 관측할 수 있습니다. 종합주가지수의 추이도 그렇고 업종을 분류해서 전망하는 항공과 호텔, 여행업에 대한 주가의 반영도 그렇습니다. 물론 디플레이션의 위험에 대한 대응으로 유사 이래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큰 규모의 재정지출, 그리고 실질적인 마이너스 금리의 효과로 인한 해석을 배제하고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시장의 반응에 대해 응대해야 할 시기입니다. 전년도 한해만 해도 규제철폐 샌드박스 안건으로 통과된 숙박업 관련 사항 중 특기할 만한 내용으로 도심의 지하철 인근에서 외국인뿐만 아니라 내국인도 일정기간 숙박이 가능한 공유숙박업의 허용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일정한 조건이라는 단서를 달기는 했지만 이를 충족하는 4천명 내외의 호스트에게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도록 실증특례를 허용했고, 이는 4천 개의 숙박업소 허가와 마찬가지입니다. 또 농어촌 빈집을 활용한 숙박업까지도 소리소문 없이 통과되었습니다. 정확히는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주재하는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농어촌 빈집활용 숙박서비스’의 시범 운영이며, 이는 빈집활용을 통해 마을재생의 일환이라는 명분을 포함하고는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과포화 공급 상황인 숙박산업 측면에서 보면 숙박업종사자들을 아무런 보호장구없이 거친 격랑의 물살 속으로 떠밀어 버린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거기에 더해 시중에 풀린, 눈을 감아버린 현금 뭉치들은 선제대응이라는 호사스러운 표현으로 더 크고 더 사치스러운 숙박시설로 재무장하고 있습니다. 차별화라는 이름으로 극단적인 고급화로 치닫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더더욱 시장의 변화에 발 빠르게 응대해야 합니다. 5인 이상의 사적 모임을 금지하는 집합금지 명령을 피해 식당이나 술집이 아닌 숙박업체로 이동한 단체고객이나 9시 넘으면 모텔로 몰리는 배달차량의 이동행렬이 더 이상 남의 일일 수는 없습니다. 본연의 숙박목적이 아닌 투숙객이 머물고 나간 자리의 청소나 객실의 훼손으로 골머리를 싸안게 되는 문제도 작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변화된 시류에서 불평이 아닌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해가는 과정에서, 자본이 아닌 노동의 선제적 대응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고객이 먹고 방치한 음식이나 음료로 인해 객실이 난장판이 되는 것은 마땅히 먹을 자리도 쓰레기를 처분할 대안도 없기 때문입니다. 불평과 하소연보다는 객실 내에 분리수거가 가능한 봉투나 좀 더 큰 대형의 휴지통을 준비해 보는 것도 시도해 보셔야 합니다. 많은 예산을 들여 파티룸을 만들어 보겠다는 무리수보다는 간단한 안주거리나 인근의 음식점과 배달 협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는 것도 대안일 수 있습니다. 찾아온 고객을 식당이나 술집이 아니라 우리 산업군의 특징인 공간을 대여하는 것에서 확장해 외식까지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거리두기 지침을 어기라는 말은 아니나 그 지침 안에서 최대한 수익을 창출할 선제 대응을 취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 상 진 대표 |
이전글 | [전문가 칼럼] Architenture 감성디자인 - 6부 - 변주용 |
---|---|
다음글 | [전문가 칼럼] 숙박업에서 미성년자 고용이 가능한지 여부 - 최창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