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 비주얼

중앙회소개


숙박매거진 위생교육 숙박매거진 E-book 지역협회 찾기 협력업체 쇼핑몰
숙박매거진 뉴스홈페이지 오픈

> 중앙회소개 > 소식 > 숙박뉴스

숙박뉴스

숙박뉴스 뷰페이지

정부의 낙관적 전망으로 초래된 ‘숙박업계 공급과잉’ 심각

관리자 |
등록
2017.04.28 |
조회
13446
 
   
   
관광호텔 공급 확대를 위한 용적률 완화는 언제까지?
   
   
    

  국내외 유명 호텔들이 유커 중심의 관광 수요를 믿고 최근 2~3년 사이 서울에 집중적으로 비

즈니스호텔을 지었으나, 사드 여파로 중국인이 발길이 뚝 끊기면서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호텔업계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서울 명동, 동대문, 광화문 등 서울 강북 지역에는 3~4성급 

비즈니스호텔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섰다. 특히 유커가 몰리는 서울 명동에는 작년 한 해만 2천

개가 넘는 객실이 마련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롯데호텔이 롯데시티호텔명동, L7명동을 동시에 문을 열었고, 프랑스 호텔체인 루브

르호텔그룹의 골든튤립 호텔, 메리어트의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하나투어가 운영하

는 티마크 그랜드 호텔이 잇달아 개장했다. 또한 올해 명동에는 알로프트 호텔, 파르나스호텔

그룹의 ‘나인트리 프리미어 호텔 명동Ⅱ’ 등이 새롭게 생겨났다.
  
     
   
ghj.jpg
 
    
   
    
  서울 동대문 지역에도 비즈니스호텔이 넘쳐난다. 지난해 개장한 이비스 앰배서더 동대문을 

비롯해 이비스 버젯 앰배서더 동대문, 호텔 더 디자이너스 동대문 등 여러 호텔이 현재 영업 

중이다. 그러나 이들은 최근 중국 정부의 ‘한국 여행상품 판매금지’로 인해 투숙객이 급격히 감

소하여 경영난에 휩싸였다.
     
   
  실제로 이비스 버젯 앰배서더 동대문 호텔의 경우, 이달 들어 중국인 단체예약이 모두 취소

됐고, 하루 2~3건씩 개별여행객 취소 사례도 접수되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시는 관광호텔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용적률 완화에 나섰다. 늘어나는 관광 

수요를 고려해 정부가 한시적으로 도입한 후 종료시킨 용적률 완화 특별법(관광숙박시설 확충

에 관한 특별법)을 수정하여 서울시 조례로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호텔 과잉 공급

에 대한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번 수정안은 서울시의 종전 도시계획조례에 특별법의 핵심 사안을 반영했다. 특별법 이전

까지 서울시는 ‘객실 연면적 비율’만을 적용해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했지만 앞으로는 공개공

지 확보, 사업지 일대 환경성 등도 포함, 탄력적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단, 역사도심 기본계

획이나 한강변관리 기본계획 등에서의 높이기준은 준수하기로 했다.
  
  
  특히 준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에 호텔을 지을 경우 주거비율과 관계없이 용적률 혜택을 받

을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용적률 인센티브 부여 기준에서 해당 항목을 삭제하는 등 입지 

특성을 반영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주거비율 70% 이상과 30% 미만시에 각기 다른 용적률이
   
적용됐다. 또한 전반적인 용적률 적용 범위는 특별법에 맞췄다. 일반주거지역에서 최대 150%, 

상업지역에서 최대 500%까지 추가 제공하는 방안으로 주차장 설치 기준도 134㎡당 1대에서 
  
300㎡당 1대로 완화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울시는 “특별법 이전 도시계획조례에 맞춰 지금의 호텔 건립 계획을 진행하
  
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시내 관광호텔 수요가 여전히 부족할 것으로 판단돼 시 조례

를 바꿔 수급 조정에 나설 방침이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정확한 수요 분석없이 호텔 공급에만 집중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3분기까지 서울 시

내 호텔수는 329개, 객실수는 4만5551실로 이중 절반이 넘는 2만5822실(126개)이 2012년 특

별법 시행 이후에 집중 인허가를 받았다. 반면, 2016년 7월 91만명이던 중국인 관광객은 9월 

72만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11월에는 52만명까지 떨어졌다. 최근 2~3년새 인허가를 받은 물

량이 향후 공사를 마치면 공급과잉 현상이 더욱 심화된다. 정부는 호텔업계 실정을 바로 보지 

못하고 계속해서 호텔공급에 집중한다면, 국내 숙박업계의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음을 더 늦기

전에 인지해야 한다.
   
         

<출처 : 월간 숙박매거진>
목록보기
이전글 봄 여행객 잡기에 나선 ‘호텔업계’
다음글 에어비앤비, ‘아이비잉’으로 사명 바꿔 중국 내 사업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