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15일 기준 서울 내 모두 2,206곳… 3개월만에 457곳 증가 숙박업과 근소한 차이… 미신고사업장 포함시 더 많을 가능성
서울 지역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이하 외도민)’이 3개월 만에 457곳이 늘어나는 등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숙박매거진이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7월 15일을 기준으로 서울 지역 일반숙박업은 2,480곳, 외도민은 2,206곳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1일 기준으로 1,749곳이었던 서울 지역 외도민은 불과 3개월 사이에 457개(20%)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서울의 3개월간 일반숙박업의 증가는 30곳(1.2%)에 불과했다.
외도민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는 서울(2,206)에 이어 부산(277곳), 전북(239곳), 강원도(157곳), 경기도(134곳), 경북(94곳), 전남(79곳), 경남(75곳), 대구(61곳), 인천(60곳), 대전(35곳), 광주(34곳), 충남(17), 울산(15), 충북(9)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 외도민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유는 무엇보다 엔데믹 이후 늘어나는 외국인 수요 증가와 그에 따른 공유숙박 활성화 기대감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외도민 업종은 본래 방한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가정 문화를 체험시켜주고 숙식 등을 제공하기 위한 취지로 만들어졌으나, 최근 대중들에게는 규제샌드박스 등을 통해 공유숙박을 시작하기 위한 업종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다만, 일부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불법으로 영업하는 사업자들이 많아지기 시작하면서 이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도 했다. 외도민만 허가받으면 내국인을 받아도 합법인줄 알고 있는 사업자들도 상당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적인 주택에서도 사업이 가능해 창업 비용이 비교적 낮아, 최근 공유숙박은 직장인 부업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점도 외도민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집계되지 않는 미신고 사업자들을 포함하면 사실상 공유숙박시설의 개수는 일반숙박업에 근접하거나 이미 넘어섰을 가능성이 크다. 공유숙박은 MZ세대의 취향이나 소비성향과도 맞물리고 있어, 기존 숙박산업의 피해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올해 관광객 숙박시설 확충 방안으로 내국인 공유숙박 합법화를 추진한다는 발표까지 한 상황이다.
현재 내국인이 합법으로 공유숙박을 이용하려면 서울과 부산에서 규제샌드박스로 지정된 플랫폼을 사용해야 한다. 공유숙박이 제도화되면 모든 외도민에서 내국인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기타 지역에서도 외도민이 급속도로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를 두고 일반숙박업계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이미 중소형호텔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데 새로운 경쟁업종의 규모가 커지기 때문이다. 대한숙박업중앙회는 최근 정부의 무분별한 공유숙박 확장 움직임에 대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공유숙박 플랫폼 실증 특례 추가 지정에 대한 소송도 진행한 바 있다.
다만, 최근 공유숙박 플랫폼 에어비앤비는 호스트 영업 신고 제출 의무화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하게 증가하던 불법공유숙박시설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가 공유숙박 제도화를 계속 추진하는 한, 기존 숙박산업과의 형평성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광숙박산업 관계자는 “정부는 현재 기존 숙박산업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도와 관심이 부족한 상태”라며 “시장에 대한 문제 파악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