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 비주얼

중앙회소개


숙박매거진 위생교육 숙박매거진 E-book 지역협회 찾기 협력업체 쇼핑몰
숙박매거진 뉴스홈페이지 오픈

> 중앙회소개 > 소식 > 숙박뉴스

숙박뉴스

숙박뉴스 뷰페이지

“변해야 산다” 숙박업의 미래를 좌우할 경쟁력 아이템

관리자 |
등록
2019.08.01 |
조회
7042
 

“변해야 산다” 숙박업의 미래를 좌우할 경쟁력 아이템

CMS, 무인자동화, OTT, 스트리밍 게임 등 시대 흐름 뚜렷


어떤 업종이든 주어진 영업환경 내에서 소비자들의 주요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소비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설을 확충하는 시도는 매출상승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시대적 흐름에 따른 트렌드의 변화가 가장 뚜렷한 분야는 소프트웨어 시장이다. 숙박업 경영자들이 주목해야 할 소비 트렌드를 점검해 본다.

필수가 될 ‘CMS(Channel Management System)’
여행객들의 최신 트렌드는 단체여행객 중심에서 FIT(개별 자유여행객)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여행객들은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온라인에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며 직접 여행지, 숙소, 교통수단 등을 결정하는 시대가 됐다.

이 때문에 OTA(Online Travel Agency)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국내 여행객조차 해외 글로벌 OTA를 통해 숙소를 예약하는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온라인 예약을 통한 집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판매채널의 다변화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로써 판매채널의 다변화는 어려운 상황이다. OTA만 별도 관리하는 인력을 두지 않는 한 3개 이상의 플랫폼을 동시에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CMS(채널매니저)를 이용하면 하나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것만으로 10개 이상의 플랫폼을 관리할 수 있다. 더 많은 판매채널을 확보해 홍보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됐다는 점에서 CMS는 앞으로 숙박업 경영자들에게 필수적인 소프트웨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진화하고 있는 무인 자동화 시스템
많은 숙박업 경영자가 인건비 부담 해소와 관리적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무인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키오스크 등 무인 정산기를 설치해 운영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별도로 구동되는 숙박업의 특징 때문으로, 앞으로는 보다 진화된 무인 자동화 시스템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무인 자동화 시스템이란 CMS와 PMS(호텔관리시스템) 등이 하드웨어 장비를 관리·통제하는 RMS(Room Management System)와 결합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예약 고객에 대한 정보를 하드웨어 설비와 연계한다는 점이 특징으로, 이를 통해서는 일부 예약 고객에게만 출입을 허용한다거나 키오스크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객실을 이용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가능하다.


실제 광주의 일대일 드라이브 인 객실 시스템을 구현한 숙박시설의 경우 예약 고객만 제외하고 금하산업의 커스터마이징 객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청소년 출입관리 등을 비롯해 사실상 고객과 대면 없이 무인으로 운영 중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진화된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에는 관리 인력까지 최소화하고 관리적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관심 집중되기 시작한 OTT(Over The Top)
Over The Top의 약자인 OTT는 TV, 모바일, PC 등의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한 영상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칭하는 단어로, SBS, KBS, MBC 등 공중파 방송 3사의 연합체인 POOQ와 글로벌 플랫폼인 넷플릭스 등이 대표적이다.

OTT 시장은 날이 갈수록 성장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에서는 넷플릭스와 경쟁하기 위해 디즈니가 역사상 최대 제작비를 투입해 스타워즈 시리즈의 드라마 버전을 준비하는 등 기존 방송사를 뛰어넘는 특별한 콘텐츠를 예고하고 있다. 이미 미국 등 유료방송이 보편화된 시장에서는 기존의 TV 서비스를 모두 해지하고 OTT로 대체하는 가구 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우리나라 역시 OTT 이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앞으로 숙박업소에서는 OTT 이용환경을 얼마나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느냐에 따라 경쟁력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숙박업소에서 OTT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은 OTT 소프트웨어를 지워하는 스마트TV를 설치하거나 OTT 셋톱박스 등 보조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5G 기반, 진화하고 있는 게임 시스템
20~30대 고객층에게 매력적인 아이템 중 하나는 게임 콘텐츠다. 이미 상당수 숙박업소에서는 게이밍 PC를 설치해 운영하면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PC나 콘솔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게임 서비스가 가능한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게임 서비스의 체계가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5G 통신망을 중심으로 한다.

게임 콘텐츠는 오락실 등으로 대표되는 아케이드게임에서부터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대표되는 패키지게임, PC 온라인게임, VR/AR 게임 등으로 진화를 거듭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저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미 구글을 비롯해 상당수 게임 플랫폼 업체에서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트리밍 게임이란 영상 콘텐츠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저장해 실행하는 형태가 아닌 게임사의 서버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실시간 정보를 끌어와 소비자가 보유한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서비스다. 이는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인 5G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다. 장점은 게임 기기를 별도 설치할 필요 없이 고객이 지닌 디바이스로 이용하면 된다는 것이며, 단점은 이를 위해서는 5G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직은 보편화되지 않았지만, 20~30대 고객층을 위해 5G 무선 통신망 구축 방안도 앞으로 숙박업 경영자들이 고민해야 할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숙박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ww.sukbakmagazine.com

목록보기
이전글 떡국 끓이다 불낸 종업원에게 실형 선고
다음글 객실 총량 관리의 필요 “과잉공급 해결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