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시장에 매물로 등장한 인천 을왕동의 한 숙박시설은 최초 감정가가 60억원에 달했지만, 최근 경매에서 1명이 응찰해 63% 수준인 37억원에 낙찰됐다. 또 대전 유천동의 한 숙박시설은 감정가가 30억원을 웃돌았지만 수차례 유찰을 거듭한 끝에 최근 12억1,900만원에 낙찰됐다. 낙차가율은 37% 수준이다.
평창올림픽으로 관광호텔 허가가 많았던 강원도 평창군의 숙박시설은 감정가 90억원의 관광호텔이 최근 17% 수준인 15억2,000만원에 낙찰됐다. 이 마저도 1명이 응찰했을 뿐이다. 또 충북 수안보의 숙박시설은 감정가의 1/3 수준인 27억원에 나찰됐고, 전북 군산시의 숙박시설 2곳은 각각 감정가의 50% 수준인 12억5천만원, 7억2천만원 수준에서 낙찰됐다.
불과 4년 전만해도 이렇지는 않았다. 지지옥션이 2015년 1월부터 4월까지 경매시장을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숙박시설은 낙찰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이었다. 해당 기간 내 숙박시설에 대한 응찰자수는 2.4명으로 용도별 가장 낮은 응찰자수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낙찰가율은 92.3%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숙박시설이 감정가와 비슷하거나 일부는 감정가를 웃도는 수준에서 낙찰가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4년 이후 현재의 시점에서는 최저 17%까지 낙찰가율이 하락했다. 90% 수준에서 거래되던 수익형 부동산의 가치가 4년만에 10%대까지 떨어졌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당장 현재 숙박업을 경영하고 있는 경영자들의 재산권이 크게 하락하고있다. 무엇보다 부동산 가치 하락은 산업 자체를 크게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다.
숙박업계에서는 이를 관광호텔의 무부분별한 허가가 초래한 결과로 보고 있다. 정경재 (사)대한숙박업중앙회장은 각종 공유민박 법제화 관련 토론회에서 이에 대한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기존 숙박업소들이 정부의 관광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난립한 관광호텔로 인해 수익이 악화됐으며, 중국의 사드 보복 이후 어려워진 관광호텔이 이른바 대실 영업까지 나서면서 시장 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것이다.
생존을 위해 체면까지 구겨가며 영업활동을 해 온 관광호텔들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결국 경매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특별한 대안이 있는 것도 아니다. 관광산업이 몰락하고 있지만 정부의 대책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관광호텔들이 특히 증가한 제주와 강원의 지역 경제에 빨간불이 들어왔지만, 우리나라 관광 산업을 재단해야 할 국가관광전략회의나 한국방문위원회 등의 역할과 비중이 줄었다. 청와대 비서실에서도 관광진흥비서관직이 사라진지 오래다.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관광 산업의 인프라라 할 수 있는 숙박 산업이 몰락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공유민박 법제화의 폐지는 물론, 숙박시설에 대한 영업허가를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신규시설의 영업을 허가하는 대신, 외국인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 숙박업소의 리모델링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이 같은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국내 관광 산업 인프라가 무너져 국가 경제발전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숙박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ww.sukbakmagazi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