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브 비주얼

중앙회소개


숙박매거진 위생교육 숙박매거진 E-book 지역협회 찾기 협력업체 쇼핑몰
숙박매거진 뉴스홈페이지 오픈

> 중앙회소개 > 소식 > 숙박뉴스

숙박뉴스

숙박뉴스 뷰페이지

관광숙박산업 빨간 불…깡통호텔 급증

관리자 |
등록
2019.04.10 |
조회
8102
 

감정가 대비 최대 17% 수준에서 거래되는 낙찰가율
안일한 정부 대책 이후 몰락, 관광 산업 재편 목소리 높아

경매시장에 매물로 등장한 인천 을왕동의 한 숙박시설은 최초 감정가가 60억원에 달했지만, 최근 경매에서 1명이 응찰해 63% 수준인 37억원에 낙찰됐다. 또 대전 유천동의 한 숙박시설은 감정가가 30억원을 웃돌았지만 수차례 유찰을 거듭한 끝에 최근 12억1,900만원에 낙찰됐다. 낙차가율은 37% 수준이다.


평창올림픽으로 관광호텔 허가가 많았던 강원도 평창군의 숙박시설은 감정가 90억원의 관광호텔이 최근 17% 수준인 15억2,000만원에 낙찰됐다. 이 마저도 1명이 응찰했을 뿐이다. 또 충북 수안보의 숙박시설은 감정가의 1/3 수준인 27억원에 나찰됐고, 전북 군산시의 숙박시설 2곳은 각각 감정가의 50% 수준인 12억5천만원, 7억2천만원 수준에서 낙찰됐다.

떨어져도 너무 떨어진 숙박 부동산의 가치

법원경매전문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3월 전국 숙박시설의 경매는 낙찰가율이 감정가 대비 최저 17%, 최대 79%에 그쳤다. 평균적으로는 47%에 불과하다. 특정 숙박시설의 감정가가 10억원이라면 실질 낙찰가율은 5억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은행의 대출 심사가 더 까다로워지는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며, 숙박업 경영자들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과 4년 전만해도 이렇지는 않았다. 지지옥션이 2015년 1월부터 4월까지 경매시장을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숙박시설은 낙찰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이었다. 해당 기간 내 숙박시설에 대한 응찰자수는 2.4명으로 용도별 가장 낮은 응찰자수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낙찰가율은 92.3%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숙박시설이 감정가와 비슷하거나 일부는 감정가를 웃도는 수준에서 낙찰가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4년 이후 현재의 시점에서는 최저 17%까지 낙찰가율이 하락했다. 90% 수준에서 거래되던 수익형 부동산의 가치가 4년만에 10%대까지 떨어졌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당장 현재 숙박업을 경영하고 있는 경영자들의 재산권이 크게 하락하고있다. 무엇보다 부동산 가치 하락은 산업 자체를 크게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다.

부분별한 관광호텔 허가의 민낯

올해 1분기 전국 숙박시설의 경매 진행 건수는 237건, 낙찰 건수는 70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경매 진행 건수는 161건에 불과했다. 1년 사이 거래량이 1.5배 뛰어오른 것이다. 현재 숙박시설의 수익형 부동산 가치는 낙찰가율만 떨어진 것이 아니라 거래량 자체가 늘었다. 상황이 여의치 않아 경매에 매물로 나오는 숙박시설이 1년 사이 50% 늘었다는 의미다.

숙박업계에서는 이를 관광호텔의 무부분별한 허가가 초래한 결과로 보고 있다. 정경재 (사)대한숙박업중앙회장은 각종 공유민박 법제화 관련 토론회에서 이에 대한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기존 숙박업소들이 정부의 관광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난립한 관광호텔로 인해 수익이 악화됐으며, 중국의 사드 보복 이후 어려워진 관광호텔이 이른바 대실 영업까지 나서면서 시장 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것이다.


생존을 위해 체면까지 구겨가며 영업활동을 해 온 관광호텔들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결국 경매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특별한 대안이 있는 것도 아니다. 관광산업이 몰락하고 있지만 정부의 대책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관광호텔들이 특히 증가한 제주와 강원의 지역 경제에 빨간불이 들어왔지만, 우리나라 관광 산업을 재단해야 할 국가관광전략회의나 한국방문위원회 등의 역할과 비중이 줄었다. 청와대 비서실에서도 관광진흥비서관직이 사라진지 오래다.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관광 산업의 인프라라 할 수 있는 숙박 산업이 몰락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공유민박 법제화의 폐지는 물론, 숙박시설에 대한 영업허가를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신규시설의 영업을 허가하는 대신, 외국인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 숙박업소의 리모델링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이 같은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국내 관광 산업 인프라가 무너져 국가 경제발전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숙박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ww.sukbakmagazine.com

목록보기
이전글 숙박업 과징금 상한액 1억원으로 인상
다음글 개별여행객에 호텔 홍보로 자생력 갖춰야…